국내 소비자들이 중국산 하면 짝퉁을 많이 떠올리듯이, 실제로 중국 내부에서도 신뢰 문제가 만연합니다. 2004년의 가짜 분유 파동, 2008년의 멜라닌 파동은 중국인들에게 마저 자국의 식품 산업에 대해 불신을 일으켰는데요. 현재도 알리바바의 B2C 쇼핑몰에는 가짜 제품들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개개인의 도덕성이 결부된 문제라 쉽게 해결할 수도 없는 부분인데요, 중국의 민간 기업들이 이를 해결하고자 나섰습니다. (이미지 출처 : Inverse) 일단 중국의 사회 신용 체계(Social Credit System)가 실제로는 두 개의 개별 시스템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중국의 사회 신용 체계는 재무적 측면의 (Financial) 신용과 사회적 측면의(Social) 신용으로 나눠 볼..
애플은 2020년부터 맥 컴퓨터에 자체적으로 제작한 ARM* 기반의 칩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까지 맥에 칩을 공급해왔던 인텔에게 큰 손해를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포브스의 조사에 따르면 무려 3조원이 넘는 매출의 감소와 5%가 넘는 순익의 감소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출처 : NASDAQ) 이와 같은 추정은 인텔 칩 제작의 순이익이 (맥을 위해 애플에서 제작하는 칩과 유사하게) 30% 정도라고 가정하고 약 46억 개의 칩이 매년 생산되고 있다고 가정할 때의 추정치입니다. 따라서 애플의 맥이 인텔 주식의 한 주당 약 200원($0.21)의 기여를 하고 있다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애플이 인텔의 칩을 사지 않는다면, 주식의 하락과 함께 인텔은 5%의 순이익 감소를 맞이하게 될 것..
2018년 한해는 여러 IT 대기업의 명성이 데이터 유출 사건들로 얼룩졌던 한해였습니다. 다가오는 새해에 우리는 어떤 태도를 가지고 온라인 활동에서 파생되는 데이터를 바라봐야 할까요? 온라인 경제를 이끄는 것은 추상적인 “데이터”가 아니라 “인간” (이미지 출처: The Economist) 데이터는 새로운 석유라고도 불립니다. 땅속에서 쏟아져 나오는 검고 끈적한 원유처럼, 0과 1들로 쏟아져 나오는 데이터는 전처리 과정을 거쳤을 때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되는데요, 여기서 바로 여러분들이 그 0과1의 데이터입니다. 시가총액 10위 이내 기업 중 일곱 개가 테크 기업이고, 고가의 전자제품을 판매하는 애플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B2B로 판매하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기업의 수익 모델이 인간에..
출처 : Shutterstock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진이 인공신경망을 광학 칩에서 직접 트레이닝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광학적 딥러닝 프레임워크에 관한 소식은 에티에서도 일전에 전해드린 바 있는데요. 기존의 광학 인공신경망은 광학 칩에서 직접 트레이닝되는 것이 아니라 GPU 등 전자 칩을 사용해 트레이닝된 모델을 광학 장치에 이식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그 때문에 트레이닝 과정에서는 여전히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되었고, 트레이닝된 모델을 이식하는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모델을 광학 칩에서 직접 트레이닝하는 방법이 제안됨에 따라 기존의 인공신경망이 갖고 있던 문제를 광학 칩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연구 팀의 리더인 스탠포드 대학의 Fan Shan..
중국에서 빠르게 성장하여 세계 최대의 전자 상거래 기업으로 성장한 알리바바. 이러한 알리바바의 낙관론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이에 대한 대답이 미중 무역전쟁이라고 생각하기 쉬울텐데요. 오히려 중국 내부의 경쟁 심화 및 중국 경제 성장 둔화가 알리바바에게 있어 더 큰 방해 요소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지난주 금요일, 알리바바는 현재 3750억 위안에서 3830억 위안 사이의 연간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이전에 예상되던 금액에서 4%~6% 낮은 수치입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는 세계경제의 거시적인 요인보다는, 중국 국내에서의 경쟁과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에서 기인한다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장기적인 경제 전망과 무역 전쟁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발표 (출처 : B..
출처 : The Verge 지난 1일, '중국의 폐쇄적인 인터넷망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수출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미국의 비영리단체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에서 발표했습니다. 프리덤 하우스는 또한, 이러한 중국의 디지털 권위주의(digital authoritarianism)가 다른 나라의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프리덤하우스는 1941년에 창립되어, 1980년부터 세계 각국의 언론자유도를 수치화하여 발표하고 있는데요. 중국이 4년 연속 최하위 국가로 선정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특히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회사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중국의 검열 정책에 직접적으로 반대하지 않는다는 현실을 단도직입적으로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IT기업들의..
출처 : Brunswick Group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바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입니다. 현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의 2016년 선거 당시 팔로워 수는 500만 명이 넘었는데요. 확산성이 큰 만큼 허위 사실과 자극적인 트윗들도 빠르게 전파되어 당시 트위터봇 여론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고, 페이스북 Cambridge Analytica 스캔들로 인해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에티에서는 일전에 소셜 네트워크가 정치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적이 있는데요. 오늘 소개드릴 책의 저자는 군사 전문가인 P. W. Singer로, 그는 이 책에서 왜 소셜 미디어..
출처 : CNN 2015년 여름, 미국 연방 인사관리처(OPM,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의 전산망이 해킹을 당해 개인 정보가 대거 유출되었습니다. 2천만 명 이상의 개인 정보 및 560만 명의 지문 정보가 유출된 대규모 스캔들이었는데요. 당시 미중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이슈가 발생하여 더욱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위 사건을 계기로 미국 정부 기관의 사이버 보안 기술력에 대한 신뢰도가 추락했는데요. IT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해나가는 데에 반해, 정부 기관이 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 미 정부에서 설립한 조직이 바로 USDS(United States Digital Service)입니다. 2013년 말에는 미 정부의 ..
아마존 물류 공장에 적용되며 로봇 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던 Kiva Systems가 아마존에 인수 된 지 벌써 6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로봇 업계에 수많은 “물류 로봇” 스타트업들이 등장했지만, 모두 기본적인 형태와 기능은 Kiva의 로봇들과 똑같았습니다. 보면 다소 식상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물류 로봇들의 컨셉은 지난 몇 년간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출처 : Techcrunch 그러던 중, USC의 로봇 학위 프로그램을 갓 졸업한 Lior Elazary, Dan Parks와 Randolph Voorhies가 등장합니다. 이들은 로보틱스 기술을 통해 “당장의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고자 했는데요. 우선, 이들은 기존 로봇 기업들의 과오를 되짚어봄으로써 교훈을 얻고자 했습니다. 청소 로봇으로 명성..
출처 : DriveElectric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를 자율주행 자동차라고 합니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곧 우리 생활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 글에서도 이러한 변화들에 관해 다룬 적이 있었는데요. 교통 공학자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완전한 자율주행이 이뤄진다면 교통 정체 현상, 교통 사고, 심지어는 신호등까지도 모두 사라지는 사회가 올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출처 : TechCrunch 어떤 사람들은 완전한 자율주행이 이루어진다면 ‘주차’라는 개념도 필요 없어질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실리콘밸리 투자자들의 상당수는 이미 주차를 과거의 유물로 규정하고, 아직까지 자율주행 자동차..
- Total
- Today
- Yesterday
- IoT
- 로봇
- 가상현실
- 블록체인
- 중국
- AI
- SpaceX
- 구글
- VR
- 페이스북
- bt
- 인공지능
- 트위터
- 실리콘밸리
- 스타트업
- amazon
- 투자
- AR
- 테슬라
- 아마존
- snapchat
- 드론
- 증강현실
- 알리바바
- 웨어러블
- 자동차
- 사물인터넷
- 자율주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